본문 바로가기
환자지침서

[환자지침서] 여성형 유방(Gynecomastia)의 원인, 증상, 진단과 치료법 한판 정리

by Sunwhangi 2023. 6. 20.
반응형

 

1. 여성형 유방이란?

 

 

Gynecomastia, 여성형 유방


 

여성형 유방(gynecomastia)호르몬에 불균형이 발생하여 남성의 유방이 비정상적으로 크거나 발달하여, 여성의 유방과 유사한 외관을 가지는 상태를 말합니다. 즉, 남성들이 가슴 부위에서 종양 또는 종괴 형태가 발생하여 증상이 먼저 나타납니다.

여성형 유방은 대개 양측 유방에서 발생하지만, 경우에 따라 단일 유방 또는 낱개의 종괴로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유방 조직은 지방 조직과 여러 종류의 선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유방 조직에서 호르몬 수준의 변화 또는 다른 요인에 의해 이러한 조직들이 비정상적으로 발달하거나 증가할 경우, 여성형 유방이 발생하게 됩니다.

 

 

2. 여성형 유방의 발생 원인

 

여성형 유방(gynecomastia)은 복잡한 원인과 병태생리학적인 변화에 의해 발생합니다. 주로 호르몬 변화와 연관되어 있고, 그 외에 다른 요인들이 동시 다발적으로 작용합니다.

 

 


1) 호르몬 수준 변화: 여성형 유방은 주로 에스트로겐과 테스토스테론의 비율 변화로 인해 발생합니다. 남성은 테스토스테론이 주로 지배적인 성호르몬이지만, 에스트로겐도 적은 양으로 존재합니다. 일부 남성에서는 에스트로겐 수준이 상승하거나 테스토스테론 수준이 감소하여 에스트로겐/테스토스테론 비율이 높아지면서 유방 조직의 발달이 촉진됩니다.

2) 내분비 호르몬 이상: 여성형 유방은 호르몬 이상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간장, 갑상선, 부신 등 내분비 시스템의 이상은 호르몬 조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여성형 유방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3) 약물 사용: 일부 약물은 여성형 유방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데노신, 암페타민, 수면제, 항암제, 합성 호르몬, 프로스타글란딘 등의 약물은 여성형 유방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4) 비만: 비만은 여성형 유방의 원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비만은 에스트로겐 수준의 증가와 연관되며, 지방 조직에서도 일부 에스트로겐이 생산되기 때문에 비만은 호르몬 불균형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5) 유전적 요인: 일부 사람들은 유전적인 취약성으로 인해 여성형 유방에 더 민감할 수 있습니다. 유전자 변이나 가족력은 개인의 여성형 유방 발병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3. 여성형 유방의 증상

 

 

증상의 정도는 일반적으로 Simon 등급(Simon's grading system)을 적용하여, 4단계로 분류합니다. 각 등급은 유방 조직의 비대 정도와 피부의 특징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Grade I:
   - 유방 조직의 비대가 경함. 피부는 탄력이 유지되며 비대된 유방 조직은 주로 유방의 아래 부분에 있음.

Grade II:
   - 유방 조직의 비대가 중등도. 피부는 여전히 탄력이 있으며, 비대된 유방 조직은 유방의 아래와 주위 부분까지.

 

Grade III:
   - 유방 조직의 비대가 심함. 피부는 신축성을 상실하고 유방 조직이 전반적으로 유방 주위에 걸쳐 분포됨

 

Grade IV:
   - 유방 조직의 비대가 매우 심함. 피부는 신축성을 완전 상실하고 유방 조직이 유방 전체에 걸쳐 퍼져있음

 

 

→ 보통 grade III, IV이 되면 환자가 증상을  호소하기 시작합니다. 주로 호소하는 증상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종괴 형성: 유방 조직 내에 종괴 또는 종양과 같은 고립된 mass 형성될 수 있습니다. 이 종괴는 일반적으로 유방 조직의 증가와 함께 발생하며, 터치하거나 압박할 때 종괴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유방 비대와 확대: 여성형 유방은 유방 조직의 증가로 인해 남성 가슴이 부풀어 오르고 크기가 증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양측 유방이나 특정 부위에서 발생하며, 종종 대칭적인 패턴을 보입니다.

3) 유방 통증 또는 불편감: 여성형 유방이 발생할 때 유방 부위에서 통증이나 민감도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종괴의 압박이나 유방의 확대로 인해 불편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4) 유방 피부 변화: 여성형 유방은 유방 조직의 증가로 인해 피부에 변화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피부가 늘어나거나 탄력을 잃고, 주름 또는 주름 모양의 흔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5) 유방 감각 변화: 여성형 유방이 발생하면 유방 부위의 감각이 변할 수 있습니다. 유방의 민감도 증가, 통증, 찔림 또는 저림 등의 감각 변화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위 표는 여성형 유방의 주요 증상을 요약한 것입니다!

 

 

 

4. 여성형 유방의 진단

 

보통 병력과 증상 평가만으로 진단하기 때문에, 의사가 신체 검진을 통해서 진단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1) 병력 및 증상 평가:  증상의 시작 시기, 증상의 심각성, 악화 또는 개선되는 요인, 약물이나 호르몬 제제 사용 여부 등으로 먼저 임상 진단을 합니다.

2) 신체 검사: 유방의 크기, 형태, 종괴의 존재 여부, 피부 변화 등을 확인합니다.

3) 혈액 검사: 호르몬 수준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혈액 검사가 필요합니다. 에스트로겐, 테스토스테론, 프로락틴 등의 호르몬 수준을 측정하여 여성형 유방의 발생 원인을 세부적으로 진단합니다.

4) 영상 검사: 유방 조직의 구조와 종괴의 성격을 평가하기 위해 유방 초음파, 유방 조직 촬영, 유방 자기 공명 영상 (MRI) 등의 영상 검사가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는 유방 내부의 조직 변화와 종양 등을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5) 생검: 종양의 성격을 확인하거나 다른 병리학적 원인을 제외하기 위해 생검이 수행될 수 있습니다. 생검은 바늘 생검, 전이체 생검 또는 수술적 생검으로 이루어집니다.


5. 치료법

 

 

치료는 원인과 증상의 심각성에 따라 다양할 수 있습니다! 먼저 보존적으로 치료하면서 약물로 경과를 살피고, 그 후 수술을 결정하게 됩니다.

1) 보존적 관리 (Conservative management):
   - 생리적 여성형 유방과 같이 임시적인 상태인 경우, 보존적인 관리가 권장될 수 있습니다. 이는 약물 치료나 수술 없이 증상의 경감을 기다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2) 약물 치료 (Medication):
   - 보존적 치료로 관리가 안될 때 약물 치료가 고려될 수 있습니다. 성인 남성의 경우, 에스트로겐 수용체 차단제인 타마록시펜(Tamoxifen)이 처방됩니다. (유방 조직의 성장을 억제)

3) 수술 치료 (Surgical intervention):
   - 심각한 증상이나 유방의 비대가 지속되는 경우나 환자가 미용적으로 원할 때 수술을 시행합니다.

 

아래는 수술에 적용되는 3가지 방법을 소개하였습니다.

 

 

수술은 유방 절제술(mastectomy), 지방 흡입술(liposuction), 조직 절제술(tissue excision)을 하게 되며, 각각 다른 상황에서 선택적으로 시행됩니다!

1) 유방 절제술 (Mastectomy):
   - 유방 조직의 비대 정도가 매우 심하거나 고정된 섬유화된 조직이 있는 경우
   - 유방의 크기가 크고 피부 탄력이 심각하게 상실된 경우에 적용
   - 대부분의 유방 조직을 제거하며, 필요한 경우 절개를 통해 시행함.

2) 지방 흡입술 (Liposuction):
   - 유방의 비대 정도가 상대적으로 경도하고 주로 지방 조직이 증가한 경우
   - 유방 조직이 상대적으로 연화된 경우에 유방 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해 지방 흡입술이 선택
   - 주로 소형 및 중형 유방에 적합하며, 작은 절개를 통해 지방 조직을 흡입

3) 조직 절제술 (Tissue excision):
   - 유방 조직의 비대 정도가 중간 정도에서 중증으로 나타나는 경우
   - 유방 조직의 비대와 덩어리 또는 종괴를 제거하기 위해 유방 내부에 절개를 넣음.
   - 주로 유방의 형태를 복원하고 남아있는 유방 조직을 조절하기 위해 시행

 

 

▶일반적으로 여성형 유방 예후는 좋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기능적인 문제나 합병증을 일으키지 않고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증상이 호전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꾸준히 치료하며 관리하면 분명히 좋아지는 질환입니다 ~

 

 

궁금하신 것 있으시면 댓글 남겨주세요!

반응형